안녕하세요 여러분 고사성어 게시판에 첫글 인데요 많은 관심 부탁드리겠습니다~^^
뉴스나 신문에서 파죽지세라는 말을 많이 들어 보셨을 텐데요, 뜻은 대나무가 한번에 쪼개 지듯이 세력이 강해서 아무도 대적할 사람이 없을 때 쓴답니다.
파죽지세는 삼국지에서 유래 했는데요
사마의의 아들 사마염이 위나라 황제를 폐위시키고 유선의 촉나라를 멸망 시켰습니다.
이후 두예라는 장군에게 오나라 정벌을 지시하였습니다.
그때가 2월 쯤이라 여러 장군들이 곧 봄이고, 봄엔 오나라 지방엔 전염병이 창궐하고 홍수가 자주 발생하니 나중에 공격하는 것이 어떻겠냐는 의견이 많았습니다.
그러자 두예는'우리의 기세는 대나무를 쪼개는 기세입니다. 대나무는 처음 몇마디만 쪼개면 끝까지 쪼개지니 이 기세로 공격해야 합니다.'라고
다른 장군들을 설득하였습니다.
여기서 바로 파죽지세(破竹之勢) '아무도 대적할 수 없는 강한 기세'라는 고사성어가 탄생했습니다.
다음엔 괄목상대 성어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~!
겉과 속이 다르다. 구밀복검(口蜜腹劍)의 뜻과 유래 (59) | 2021.04.10 |
---|---|
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?? 고사성어 순망치한의 유래 (20) | 2021.04.07 |
고사성어 지록위마의 유래 (13) | 2021.04.04 |
고사성어 유래 읍참마속(泣斬馬謖) 유래에 대해서 (9) | 2021.03.31 |
고사성어 유래 "괄목상대(刮目相對)할 발전인데"의 괄목상대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(7) | 2021.03.29 |
댓글 영역